옛날에는 checkout으로 브랜치 변경을 했는데 요즘은 switch로 변경한다더라..
일단 checkout 과 switch가 어떤 건지에 대해 알아보자
git checkout
1. 브랜치 변경
git checkout [branch name]
2. 파일 복원: 수정된 파일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기
git checkout -- filename
3. 커밋 간 이동
git checkout <commit-hash>
checkout하나로 여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데 왜 switch를 만들었나 했더니
명령어의 기능을 분리하여 브랜치 전환 및 복원 작업을 더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즉, git checkout이 너무 많은 역할을 수행하여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라고 한다.. 응..그렇구나..
git switch
말 그대로 브랜치를 변경하는데 쓰인다
git switch [branch]
switch가 생겼다고 checkout으로 브랜치 변경하면 안 되나??
답은 아니다. checkout으로 변경해도 된다.
하지만 어느 한 기능만 집중적으로 하는 명령문이 있다면 혹시 모를 충돌을 대비해
브랜치 이동에는 switch를 쓰자
그럼 어떤 경우에 checkout 쓰는가??
바로 커밋 간 이동에 쓴다. 파일 복원은 restore라는 명령어가 있다고 한다,,
결론
1. 브랜치변경: switch
2. 파일 복원: restore
3. 커밋 간 이동: checkout
기억하자
'개발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Merge 란? 3-way-merge에 대하여 (0) | 2025.08.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