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

Git Merge 란? 3-way-merge에 대하여

평소 git을 써본 사람이라면 merge를 당연히 사용해 봤을 거고merge를 하면서 발생하는 충돌을 겪어본 사람이 많을거다 그게 바로 나예요~다시는 실수 없도록 merge에 대해 공부해봤다Merge 란?브랜치와 브랜치를 합치는 과정을 말한다.Merge과정에서 왜 충돌이 일어나는가?merge할 브랜치가 동일한 코드를 수정했을 경우 발생한다.Fast Forward Merge란?브랜치 간 병합 시 현재 브랜치의 Head Commit이 병합하려는 브랜치의 Head Commit으로 이동하는 병합 방식이다.3-way-merge 란? 내가 작업하는 브랜치의 커밋, 다른 개발자가 작업하는 브랜치의 커밋, 두 브랜치의 공통 분기점이 되는 공통 커밋 세 가지의 커밋이 남게 된다. 이런 경우의 병합을 세 브랜치들을 종합해..

개발/Git 2025.08.21

Git checkout 과 switch의 차이

옛날에는 checkout으로 브랜치 변경을 했는데 요즘은 switch로 변경한다더라..일단 checkout 과 switch가 어떤 건지에 대해 알아보자 git checkout1. 브랜치 변경 git checkout [branch name] 2. 파일 복원: 수정된 파일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기git checkout -- filename 3. 커밋 간 이동git checkout checkout하나로 여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데 왜 switch를 만들었나 했더니 명령어의 기능을 분리하여 브랜치 전환 및 복원 작업을 더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즉, git checkout이 너무 많은 역할을 수행하여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라고 한다.. 응....

개발/Git 2025.08.18

[자바스크립트] push 함수에 대해

자바스크립트 내에는 특정 함수가 있는데 그중 push 함수에 대해 말해보고자 한다push는 이름 그대로 새로운 요소를 배열로 push한다 즉 목록에 새로운 요소를 더해준다자바스크립트에서 가장 확인하기 좋은 console.log로 자세히 알아보자 f12를 눌러 검사 창에서 console을 누르면값을 넣었을 때 내가 어떤 값을 넣었는지 배열로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부/JavaScript 2024.05.03

[자바스크립트]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해주는 방법

계산기 코드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보자 분명 10+10을 입력했는데 위 결과를 보면 01010이다 코드를 확인해보면 입력값이 다 문자열로 입력받아 숫자로 인식을 못하고 더하지 않는 것이다이럴때는 parseInt 함수를 적으면 된다const defaultResult = 0;let currentResult = defaultResult;function add(num1, num2) { currentResult = currentResult + parseInt(userInput.value); outputResult(currentResult, ''); }addBtn.addEventListener('click', add); 똑같이 10+10을 했을 때 결과

공부/JavaScript 2024.05.03

자바스크립트 백틱과 따옴표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문자열을 작성할 때 보통은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를 사용할 것이다. const defaultResult = 0; let currentResult = defaultResult; currentResult = (currentResult + 10) * 3 / 2 -1 let calculationDescription = '(defaultResult + 10) * 3 / 2 -1'; outputResult(currentResult, calculationDescription); 위 코드를 보면 6번째 줄에 작은 따옴표로 묶으면 안에 들어가있는 defaultResult값이 문자열로 출력된다. 하지만 defaultResult값을 출력하고 싶다면 이런 방법이 있다. let calculationDescription = '('..

공부/JavaScript 2024.01.09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 가능한 변수명과 불가능한 변수명에 대해 알아보자

사용가능한 변수명은 아래코드를 확인 let userName 이름을 정할 때 소문자로 시작되고 단어 내에 공란이 없는 한 단어로만 이루어지는 camelCase표현 방식을 추구한다. 위 userName 에서 Name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대문자로 시작한다. 이렇게 하면 허용되는 변수의 이름이 된다. 이는 또한 변수 내에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기 때문에 매우 사용하기 좋은 이름이다. 위에는 아마도 사용자의 이름을 저장하게 될것이다. 따라서 변수의 이름으로는 변수 내에 어떤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되는지를 묘사해준게 좋다. 또한 자바스크립트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그래서 대소문자 처리 여부가 실제로 중요하다. 즉 위에 적힌 userName의 경우 소문자 u 로 시작하고 중간에 대문자 N이 오는데 이는 대문자 U로 ..

공부/JavaScript 2024.01.08

자바스크립트 상수에 대해 알아보자

2024.01.08 - [언어/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변수에 대해 알아보자 자바스크립트 변수에 대해 알아보자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이런 식으로 변수를 정의한다. let userName = 'Max'; 변수는 일종의 데이터 컨테이너 또는 저장소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기를 사용할때 값이 2개가 있어야 계산이 가능 computerstory.tistory.com 위 글에 이어 특별한 형태의 변수가 존재하는데 이를 상수라고 한다. const totalUsers = 15;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전체 사용자 숫자가 있고 이 값은 고정되어 있다고 생각해보자 이 또한 마찬가지로 데이터 컨테이너지만 let 키워드 대신에 const키워드를 사용해 생성했다.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생성된 상수의..

공부/JavaScript 2024.01.08

자바스크립트 변수에 대해 알아보자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이런 식으로 변수를 정의한다. let userName = 'Max'; 변수는 일종의 데이터 컨테이너 또는 저장소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기를 사용할때 값이 2개가 있어야 계산이 가능해 새로운 결과 값을 나타낸다. 즉 이 두 변수를 사용해서 세 번째 변수인 현재의 결과를 얻게 된다. 그렇기에 변수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데이터 컨테이너라고 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왼편에 표시된 것처럼 let 키워드를 사용해 변수를 생성하고, 그다음에는 우리가 정한 이름을 적는다. *작명 원칙도 있기에 관련 포스터 참고* 2024.01.08 - [언어/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 가능한 변수명과 불가능한 변수명에 대해 알아보자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 가능한 변수명과 불가능한 ..

공부/JavaScript 2024.01.08

자바스크립트 동적, 약형에 대해 알아보자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해석형 언어이지만 약형 프로그래밍 언어기도 한다. 먼저 동적 해석형 언어란 미리 컴파일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c++와 같은 다른 언어는 개발 중 또는 개발 후에 컴파일 된다. 즉 최종 사용자와 공유하기 전이다. 반면 자바스크립트는 전송 중 컴파일링이기 때문 코드가 런타임에 평가되고 실행된다. 이는 또한 코드가 런타임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데이터 유형을 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처음에는 변수에 텍스트를 저장했다가 나중에는 동일한 변수에 텍스트가 아닌 숫자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언어와 다르게 자바스크립트에서 텍스트 데이터나 숫자와 같은 데이터로 작업을 할 때는, 자바스크립트에 텍스트 또는 숫자로 알려줄 필요가 없다. 그저 데이터를 저장하기만 하면 어떤 ..

공부/JavaScript 2024.01.05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란 무엇인가?

자바스크립트를 알기 위해 몇 가지 정의를 해보자 1. 자바스크립트는 런타임에 컴파일되는 동적 약형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이는 브라우저에서 웹페이지의 일부로 실행될 수도 있고 소위 호스트 환경이라 불리는 모든 머신에서 직접 실행될 수도 있다. 2. 자바스크립트는 웹페이지를 보다 동적으로 만들기 위해 생성되었다. 3. 최초에는 liveScript라고 불렸지만 당시 java의 인기로 인해 이름을 JavaScript로 바꾼 것이다. 그러므로 Java와 JavaScript는 공통점이 없고 서로 다른 언어라는 걸 이해하는게 좋다. 이제 동적 약형, 런타임에 컴파일되어 웹페이지를 더 동적으로 만든다 라는 말의 의미를 더 알아보자 웹페이지는 어떻게 작동되나? 우리가 웹페이지를 방문할 때는 브라우저를 사용한다. 브라우저..

공부/JavaScript 2024.01.05